‘중앙대학교 AI based Smart Energy Research Center’는
① 탄소중립 도시 통합 플랫폼: 탄소중립 조기 실현을 위해 도메인 별로플랫폼을 구성하여 도시 단위의 운영이 가능한 통합 플랫폼 구현,
② 빅데이터 기반 강화학습: 에너지 데이터 공유 센터를 운영하여 데이터 공유 및 강화학습을 통해 탄소중립 조기 실현을 위한 AI 개발,
③ 디지털트윈 및 테스트베드로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검증하여 탄소중립 대비,
④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Problem Finding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 및 기관과 협력을 하고 있는 연구센터입니다.
<세부 연구 분야 및 연구 성과>
1. [4단계 BK21 사업] 지능형에너지산업교육연구단
– 공유 데이터, 인공지능과 에너지 간 융합을 통한 새로운 미래 에너지 비즈니스 창출과 에너지신산업, 사회로의 혁신적 변화 촉진
2. 지능형 에너지산업 융합대학원(지능형에너지산업융합학과: http://energy.cau.ac.kr/)
– 새로운 기술적 역량과 ESG를 기반으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‘데이터 분석 인재’, 에너지신산업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발휘하는 사업적 마인드를 갖춘 ‘에너지신산업 인재’ 양성
– 에너지 플랫폼을 중심으로 세계적 공통 과제인 CO2, 온실가스 저감과 기후변화에 대응해 지속가능한 미래 스마트 에너지 시티 선도- 세부 전공 분야:
① AI/IoT/빅데이터 기반 에너지 신산업 (Energy Industry based on AI/IoT/Big data)
② 에너지신소재 및 공정 (New Materials for Energy and Fabrication process)
③ 신재생에너지 및 청정 화력 (Renewable Energy and Clean Power Plant)
④ 지능형에너지거래 및 경영 (Trade and Management for Intelligent Energy)
⑤ 스마트에너지시티 및 제로에너지인프라 (Smart Energy City and Zero Energy Infrastructure)
⑥ 지능형에너지 전환서비스 및 스마트그리드 (Intelligent Energy Conversion Service and Smart Grid)
3.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 실전문제연구단
–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 실전문제연구단은 메타버스 기반의 탄소중립 ESG 공유 캠퍼스 타운을 운영하여 연구팀, 156명의 참여교수, 195개의 산업계 기관의 공유 교육 플랫폼을 강화
– 탄소중립 분야별 전문적인 대학-산-연 구성을 통해 미래 수요에 대해 다각도 측면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융복합 지식을 함양한 탄소중립 전문가 및 고급인재 양성
4. 스마트시티 에너지 데이터 수집, 처리 기술 개발
– 국내외 적용 가능한 스마트시티 에너지 통합관제플랫폼을 구축하고, 데이터 센터를 통한 데이터 수집/관리/분석/연계 기술을 나주혁신도시에 플랫폼 적용 실증 및 고도화
5. AI 기반 데이터 공유 센터
– 스마트시티 내 각 도메인별 수집되는 데이터 저장 및 디지털트윈,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써 신재생에너지 기반 디지털트윈 비즈 플랫폼 구현 및 이를 통한 스마트 에너지 시티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
6. 신재생에너지 디지털 트윈 비즈 플랫폼 연구센터
– 지속가능한 도시 에너지 플랫폼 구축을 위한 5-Layer 기반의 도시 디지털 트윈 연구 개발 고급 에너지 전문가 / 데이터 전문가 / 디지털 트윈 전문가 인재양성 및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미래 스마트 에너지 도시 기틀 마련
7. LH-CAU Innovation Center
– 도시 내 수요환경(에너지, 환경, 교통, 안전 등)에 대비한 스마트 요소 기술 연구 및 개발